복지일자리 1600개 중증 대상, 장애인 편의시설 모니터링 등 3종 신규도입
장애인일자리 유형별 현황(’26년 정부안 기준).ⓒ보건복지부
【에이블뉴스 이슬기 기자】정부가 내년도 장애인일자리 지원대상을 올해 3만3546명 대비 2300명 확대한 3만5846명으로 획대한다.
이재명 정부의 국정과제인 중증장애인의 참여 확대를 위해 복지일자리 1600개는 중증장애인 대상으로 운영되며, 올해 개발한 ‘읽기 쉬운 자료 감수’, ‘홍보 지원 업무’, ‘장애인 편의시설 모니터링’ 3종의 직무 유형이 신규로 도입될 예정이다.
보건복지부는 31일 ‘2026년 장애인일자리 사업설명회’를 개최, 이 같은 2026년 장애인일자리 주요 추진방향을 공유했다.
먼저 정부예산안 기준 ‘2026년 장애인일자리 지원사업’ 대상자는 2025년 3만 3546명 대비 2300명 확대된 3만 5846명이다. 일반형일자리(전일제, 시간제), 복지형일자리, 특화형일자리(시각장애인안마사 파견, 발달장애인요양보호사 보조) 3개 유형으로 구분해 시행하고 있다.
특히 복지형일자리는 장애인의 장애 특성과 유형을 고려해 매년 다양한 직무를 개발하고 있으며, 올해 개발한 ‘읽기 쉬운 자료 감수’, ‘홍보 지원 업무’, ‘장애인 편의시설 모니터링’ 3종의 직무 유형을 2026년부터 신규로 포함해 지원할 예정이다. 내년 기준 복지형일자리 직무 수는 50종으로 늘어난다.
아울러 국정과제인 중증장애인의 참여 확대를 위해 2026년에 확대된 복지일자리 1600개는 중증장애인 대상으로 운영될 예정으로, 지역에서 원활히 운영될 수 있도록 지자체의 각별한 관심을 당부했다.
장애인일자리는 지방자치단체별로 11월부터 12월 중에 참여자를 모집할 계획이며, 소득수준, 장애 정도, 참여경력 등 선발기준 및 면접을 통해 선발된 참여자는 2026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참여하게 된다.
참여자 모집은 지방자치단체, 사업수행기관 홈페이지 등을 통해 공고하며, 지방자치단체별로 모집 시기 등이 다르므로 거주지 시·군·구청에 문의해야 한다.
한편 이날 사업설명회에서는 장애인의 일자리 복지에 기여한 유공자에 대한 보건복지부장관 표창(18명)과 함께 장애인일자리 우수 참여 장애인 및 우수 일자리 사례에 대해 보건복지부 장관상(7명)과 한국장애인개발원장상(13명)이 수여됐다.
장관상을 수상한 장애인일자리 참여자는 “장애인일자리는 단순 고용정책이 아니라 장애인이 일의 주체가 되어 사회에 참여하고, 삶의 의미를 찾아가는 소중한 통로이자, ‘당신도 꼭 필요한 사람’임을 말해주는 따뜻한 길이 되어주는 사업이다”이라고 소감을 전했다.
복지부 김민정 장애인자립기반과장은 “장애인일자리 사업은 장애인 스스로 자립을 통해 새로운 미래로 나아가는 출발점이다”라면서 “그 출발에 있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지자체의 관심과 노력이며, 정부도 함께 노력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출처 : 에이블뉴스 원문보기